이해를 돕고자 이전 포스팅의 1.BE동사와 2.HAVE동사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자 합니다.
>>// 이전 포스팅의 동사종류 ==============================================
** 동사의 종류 : BE 동사 / HAVE 동사 / 그 외 일반 동사
1. BE 동사 : 되어있는 상태를 표현
2. HAVE동사 : 가지고 있는 상태를 표현 (동작을 가지기도 하고 상태를 가지기도 함)
3. 그 외 동사 : 각각의 사전적 의미를 표현
3.1 ~ing형 : 능동적 진행동작을 표현
3.2 p.p 형 : 수동적 동작을 표현
<<// 이전 포스팅의 동사종류 ==============================================
BE동사 표현된 시간(과거/현재/미래)에 되어 있는 상태를 표현. && 많은 영어관련 책에서 시제(Tense)는 12시제로 단순현재, 현재완료, 현재완료진행 등등으로 말하고 있습니다만, 저는 Tense를 사전적 의미에서 의미를 찾고자 합니다. (*1) 그 외의 완료형과 완료진행형은 "2.HAVE동사"에 확장변형형으로 생각합니다. *1 : Tense - [https://www.collinsdictionary.com/dictionary/english/tense]의 5번 countable noun.
The tense of a verb group is its form, which usually shows whether you are referring to past, present, or future time. Compare aspect. 동사 그룹의 시제는 일반적으로 과거, 현재 또는 미래 시간을 의미하는지 표시하는 동사 그룹의 형태입니다. 양상을 비교합니다.
따라서, BE동사는 말하고자 하는 특정 시간의 상태를 표현합니다. My brotheriseatingmy cake.
=> 현재에 먹고 있는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My bother eats my cake. => 현재에 먹는다는 것만 말하고 있고 움직이고 있던 말던 중요하지 않습니다. 한국어에서도 "내 형이 내 케익을 먹는다"와 "내 형이 내 케익을 먹고 있다"와 같습니다. "먹는다"라고 한다면 단순히 먹는다는 것만 말합니다. 생동감이 덜한 표현이지요. 하지만, "먹고 있다"라고 한다면 먹는 동작을 좀 더 생동감있게 표현합니다. "나는 학교에 간다" vs "나는 학교에 가고 있다"의 차이에서 미묘한 느낌의 차이가 있는 걸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은 같습니다만, ~ing형으로 인해 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합니다. 움직임이죠.
HAVE동사 표현된 시간(과거/현재/미래)에 가지고 있는 상태를 표현 (동작을 가지기도 하고 상태를 가지기도 함) 이전 포스팅의 완료형과 완료진행형 설명의 예문을 다시 예로 들겠습니다. [https://aussie-korean.tistory.com/83] I worked on the project last night. => last night이라는 특정 과거시간에 일어난 일을 말하고 있습니다. 완료형/완료진행형에 있는 가지고 있다(HAVE)는 것은 지금 바로 짧은 순간에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좀 더 이전부터 가지고 있어 온 것이라서 과거에 발생한 일의 상태를 지금까지 유지된 상태입니다. 지금의 상태가 p.p라면 발생한 일이라서 지금 완료된 상태로 표현되고 ~ing형이라면 진행중인 상태를 가지고 있어서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I have worked on the project at the office for 5 hours. => 현재에 지금 전까지 언제인지는 말을 안하지만 5시간 동안 일한 상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I have been working on the project at the office recently. => 완료진행형은 한국어로 설명하기 조금 더 까다롭지만, 먼저 He is kind / He is being kind를 먼저 이해하시면 더 도움이 될 듯합니다. -> be동사는 기본적으로 현재상태를 설명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현재상태라는 것에는 습관 또는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라던가 일반적인 상태도 포함합니다. 따라서, He is kind는 그는 평소에 친절하다는 일반적인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변형된 be동사(주동사가 아닌 형용사적 의미를 같는 형태:being, been)는 좀 더 be동사의 짧은 시간에 중점을 둡니다. 그래서, He is being kind는 지금 그가 친절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평소에 친절한지 어떤지는 말하지 않습니다.(물론, 억약등 표정등 부가적인 정보에 따라 평소엔 안 친절했는데 지금 친절한 척 하네라는 비꼬는 표현이 될 수도 있습니다.:한국어에서도 "그는 친절합니다"와 그는 "엄~~~청 친절합니다. ㅡ.ㅡ;" 처럼 상황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것과 같습니다.) => 다시 예문으로 돌아가서, been working상태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working은 움직이는 상태이고 been은 말하고자 하는 때에 중점을 두므로 그 당시 일하고 있는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시적으로 / 임시로 등의 의미가 부여됩니다. 그래서, recently / lately / these day등등의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 완료형이나 완료진행형은 우리나라 말에 없는 개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 합니다. 하지만, 개념을 이해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해 왔다, ~해 오고 있다.~되어 왔다, ~돠어 오고 있다 등의 개념과 비슷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에는 좀 더 많은 HAVE동사 확장판인 과거완료, 과거완료진행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다음 포스팅에서는 미래완료, 미래완료진행에 대해서도 설명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