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GR:S04) Conditionals (조건/가정법) E03 Basic Concept
4.3. Basic Concept
지금까지 조건/가정법에 대한 설명한 내용들이 헷갈리거나 잘 이해가 안 가셨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그렇다면 다 잊어버리시고 지금 여기 “4.3 Basic Concept”만 잘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영어는 현재가 기본(또는 기준)시제로 생각해 주세요. 그리고, 현재와 미래는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니 조건문이 됩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타임머신이 있지 않는 한,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으니 과거형으로 쓰면 가정을 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기준 시제인 현재와 가까운 단순과거형은 현재를 대신한 가정형이 됩니다. 현재에서 좀 더 멀리 있는 시제인 과거완료형은 과거를 대신한 가정형이 됩니다.
한국어에서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어에서도 현재나 미래시제면 조건문이지만, 돌아갈 수 없는 과거형이 되면 가정의 의미를 가집니다.
- 비가 온다면, 집에서 넷플릭스나 볼꺼야. <- 이건 단순조건 문장
- 비가 왔다면, 집에서 넷플릭스나 봤겠지. <- 이건 가정형 문장
앞에서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 (would/should/could/might) + have + p.p에 대해서 잠깐만 설명하자면:
would/should/could/might는 will/shall/can/may의 과거의미가 아니라 현재시제에서 멀어져 과거형이 되었으므로 가능성이 낮은 느낌이 포함됩니다. 그리고, 현재시제보다는 덜 직설적인 표현으로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느낌이 되어 공손/존중의 의미가 포함됩니다.
- Will you mind ~? / Would you mind ~?
- Can you ~? / Could you ~?
나중에 기회가 되면 공손표현에 대해서 설명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한국어든 영어든 다른 나라말에서든 대체로 단어나 말들이 길어지는 것 같습니다. (Could you check my email? / I was wondering if you could kindly check my email when you have a moment.
TMI (Too Much Information)였는데 다시 돌아와서,
다시 (would/should/could/might) + have + p.p설명으로 돌아와서, 가능성이 낮은 느낌이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가정을 표현한다고 이해해 주세요.
I wish that you would arrive there on time.
wish와 would 모두 가능성이 낮을 때 사용 가능합니다.
I hope that you will arrive there on time.
hope와 will 모두 가능성이 높을 때 사용 가능합니다.
- would/should/could/might + bare infinitive (동사원형)
=>현재나 미래에 일어나지 않은 것에 대해서 표현.
=>(가정의 의미로) 할 것이다/해야한다/할 수 있을거다/~할지도 모르겠다.
- would have p.p: 과거에 일어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 “했었을 것이다”라는 의미.
- could have p.p: 과거에 일어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 “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는 의미.
- should have p.p: 과거에 일어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 “했었어야 했다”라는 의미.
- might have p.p: 과거에 일어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 “했었을 지도 모르겠다”라는 의미.
You would have done this.: 너 이거 했었을 꺼야.
You could have done this.: 너 이거 할 수 있었을 꺼야.
You should have done this.: 너 이거 했었어지.
You might have done this.: 너 이거 했었을 수도 있지.
가정법은 if절보다는 그와 연관된 주절의 형태가 더 중요하고 많이 쓰여집니다.
예를 들면 [https://aussie-korean.tistory.com/m/89]글 하단의 "You should have given way to the right-hand side cars."가 하나의 좋은 보기입니다. 이는 가정법과도 연관이 있지만 modal verbs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Verb Forms(동사형태)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있다면 이 둘은 좀 더 쉽게 이해되셨을 겁니다.